* 최근 11번가 아마존 핫딜에서 구입해본....
WD SN850X 1TB 에 대한 검토 및 사용후기 Max벤치편을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^^..
ㅁ 1편. Max 벤치마크편은??
SSD의 기본성능 확인을 위한 클린벤치(0% Fill)편으로....
- HD Tune Read/Wrire, File Benchmark를 통해서 SSD의 기본 성능을 확인해 보게 되며,
- CrystalDiskMark, AS SSD, ATTO 벤치마크툴을 통해서 SSD의 최대 피크치 성능을 확인해 보게 되며,
- Dirty Test (= Sustained Write)을 통해서 지속쓰기 특성을 확인해 봤습니다.
★ Max 벤치마크 결과 평가시 주의 사항!!
- SSD SLC버퍼에서의 성능이 반영됨에 따라서 피크치 최대 성능만을 확인할 수 있으며,
- 실제 사용자 Data가 저장된 TLC 낸드 Low영역의 성능을 반영하지 못함을 감안해서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.
ㅁ Test 시스템 개요
- ASUS Tuf Gaming Z590 Plus, i5-11600K, RAM 16GB
- Window10 RS3, Window11 (* 벤치최적화)
[마담 최적화 가이드 참조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415
- SSD는 CPU단 PCIe4.0x4 M.2 포트에 연결 함.
● Spec
* 먼저, WD 공홈에 올려져 있는 스펙을 통해서 이하 벤치마크를 통해서 스펙대비 최대성능을 확인해 보게됩니다.
ㅁ WD Black SN850X 스펙
[이전글 참조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98
▲ WD Black SN850X 제품은?? 이전 PCIe4.0 SN850 제품의 업그레이드 제품입니다.
- 자사 8채널 컨트롤러 및 DRAM이 탑재되어 있으며,
- 이전 SN850 BiCS4(96L) TLC낸드에에서 BiGS5(112L) TLC낸드로 변경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● 최초 CrystalDiskInfo
* 최초 CDI SMART정보를 Test 전에 체크해 놓게 되며, 이후 Test 진행 및 Test 종료 후 누적사항의 변화를 확인해 보게 됩니다.
● HD Tune 5.70
* No 파티션 상태에서.. HD Tune Read /Write Test를 통해서 No파티션 태에서의 특성을 확인해 보게 됩니다.
ㅁ HD Tune Read (No Partition 상태, Window11)
▲ (의견) 읽기 최대속도가 3,600MB/s 수준으로 다소 낮게 나오네요.
- 이전 P41 1TB 사용기에서도 동일한 증상을 관찰 했었습니다.
P41 사용기 결과를 통해서.. 이후 200 File Read Test에서도 다소 낮을 수 있음을 미리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.
[P41 1TB Max벤치편 참조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31
ㅁ HD Tune Write (No Partition 상태, Window11).. 오류??
* (오류 이유) 하드튠 5.70 버전 표시오류입니다 ㅠㅠ
▲ 사이즈를 조정하면 보이기는 합니다만.. 1000MB/s 이하 그래프는 볼 수가 없네요 ㅠㅠ
● HD Tune 5.75
* 하드튠 5.70버전 표시오류로 5.75버전으로 한번 더 확인해 봤습니다.
ㅁ HD Tune Read (No Partition 상태, Window11)
▲ (의견) 읽기 최대속도가 3,600MB/s 수준으로 다소 낮게 나오네요.
- 의견은 위 5.70버전 코멘트 참조해 주세요.
ㅁ HD Tune Write (No Partition 상태, Window11).. 정상 표시됨!!
▲ 쓰기파형을 보면.. SLC버퍼의 크기는 총 1TB 공간 중 약 280~300GB(30%) 정도로 추정됩니다.
- (빨간색 원표시) 다만, 빨간색 원표시 1500MB/s 수준의 아주 작은 1차 TLC 하락 구간으로 보이며, 이후 2차 다이나믹 하락 구간으로 추정되며, 거의 Full 다이나믹 SLC방식일것으로 추정됩니다.
- 2차 다이나믹 하락 구간을 보면.. 보통 요동치는 파형일 경우가 많은데요. 상당히 안정적으로 진행되는게 인상적입니다.
- 이하 300GB 파일벤치마크 및 더티테스트를 통해서 한번 더 확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.
● 300GB File Benchmark
* 300GB File Benchmark는??
- (주황그래프) 먼저, 300GB 쓰기 그래프 통해서 쓰기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면..
(파랑그래프) 이후 생성된 Test파일에 대한 읽기 그래프를 통해서 읽기 특성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.
- 아쉽게도 Test 크기를 300GB 이상으로 하면 Test 오류가 나네요.
ㅁ 300GB 파일벤치마크 결과
▲ (의견) SLC 버퍼의 고속구간의 크기는 약 280GB 수준 및 5,500MB/s 수준으로 관찰됩니다.
- 이후 쓰기 종속은?? 아주 작지만 1차 1500MB/s, 2차 약 900MB/s 전후 수준이 관찰됩니다.
- Seq 읽기속도는 3,900MB/s 수준으로 관찰되며,
이후 200GB File Read Test에서 비슷한 결과가 관찰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.
● CrystalDiskMark
ㅁ Window11 21h2
ㅁ Window10 RS3
▲ (의견) 램덤 4k Q32T16값을 IOPS로 환산해 보면...
- 랜덤 4k 읽기 85만 IOPS, 쓰기 122만 IOPS 수준으로 스펙을 상회하고 있습니다.
- Seq 스펙 대비 성능은??
인텔, AMD 시스템에 따라서 상이한 점이 있어서.. 해당 시스템에서의 최대치임을 감안해서 참조바랍니다.
● AS SSD
● ATTO
* ATTO 벤치마크는?? IO Size별로 Seq Read, Write 최대속도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훌륭한 툴입니다.
- 무엇보다, SLC모드하에서의 작은 IO Size에서의 처리속도 및 최대치에 올라오는 IO Size 확인을 통해서..
여러 낸드 및 컨트롤러의 조합에 따른~ ★컨트롤러의 IO처리 특성을 확인 수 있는 아주 적합한 벤치마크 툴입니다.
▲ (의견) 개인적으로는 작은 IO Size쪽 결과를 예의 주시하는 편입니다. (* 최대치는 Crystal Disk Mark로도 충분)
- (초록색 사각) 512B, 1KB, 2KB 작은 IO Size에서의 처리 성능이 경쟁사 제품 대비 다소 낮은 특성이 있습니다.
4K 부터는 경쟁사 무난하게 성능 잘 올라오는 것으로 관찰됩니다.
- (빨간색 사각) 또한, 쓰기는 128K Size에서 최대치에 올라오는 것으로 관찰되며,
읽기는 256K Size에서 최대치에 올라오는것이 관찰됩니다.
* 이후 IOMeter Seq 128K Test시에 다시 한번 확인해 보게 됩니다.
● Dirty Test (Sustained Write)
* 더티테스트는??
- 디스크 전체공간에 대한 랜덤 파일쓰기를 통해서 대용량 쓰기 특성을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.
- 0.1% 그래프 및 원시값을 통하여 SLC버퍼의 크기, 대용량 파일 쓰기 패던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,
파일 쓰기 진행 중 트림렉이 심할 경우 먹칠수준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.
ㅁ 50% 진행 구간 중간 스샷
▲ (빨색 표시) 남은용량 70%구간 직전에 하드튠 및 File Benchmark에서 관찰되었던 동일한 1차 하락구간이 관찰됩니다.
ㅁ 더티테스트 종료
▲ (의견) 이전 하드튠 및 파일벤치결과와 일치합니다 ^^..
ㅁ 로그값 참조
▲ (의견) SLC캐싱방식은?? Full 다이나믹 SLC 캐싱 방식으로 추정되며,
- 약 1~2%, 3% 미만수준의 아주 약간 TLC영역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만.. 별 의미는 없는 듯 싶습니다.
- 고속구간의 크기 및 속도는?? 약 280GB 수준이며, 약 5,600MB/s 수준으로 관찰되며,
쓰기 종속은?? 약 900MB/s 수준으로 관찰됩니다.
● (중간의견) 최대성능 측면에서 벤치안정감은 준수 한 듯 싶습니다.
- CDM, AS SSD, ATTO가 SLC버퍼의 최대성능이라서 참조용일 뿐입니다만...
벤치 회차별 편차가 들쑥날쑥 크지 않고, 벤치안정감이 상당히 준수해 보입니다.
- 단지, 바로 이전 키오시아 Exceria와 동일 낸드이고, 컨트롤러만 다를 뿐인데요.
HD Tune Read 및 CDM Seq Read 성능 특성에서 전혀 다른 특성보이고 있는것이 관찰됩니다.
* 이후, 200GB File Read 및 IOMeter 편을 통해서 다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※ [참조] 동일 BiCS5 112L낸드 Kioxia Exceria Pro 1TB.. HD Tune Read 결과를 비교 참고해 보세요.
[Kioxia Exceria Pro 1TB 사용기 참조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40
해당 벤치마크 결과만 보고.. 성능 평가에 대한 결론을 내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!!
* 뻥벤치 사절!! 이후 천천히 실성능을 확인해 봅시다!!
가볍게 참고 해 보시구요. 그럼, 좋은 하루 보내세요 ^^..
■■ WD Black SN850X 1TB 사용후기 진행 목차 ■■
* 해당 사용기는 티스토리 블러그에서 작성되며, 네이버 블러그 및 SSD사용자모임 등 커뮤니티에 배포됩니다.
0. 구매 및 도착, 개봉기
[구매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44
[도착 및 개봉기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48
① Max Benchmark.. 무난하게 스펙 IOPS 구현 & 벤치 안정감 좋네요!!
- CDI, HD Tune Read/Write, 300GB File Benchmark, CrystalDiskMark, AS SSD, ATTO, Dirty Test(Sustained Write)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50
② 200GB File Read Test.. 아쉬운 3,900MB/s!!
- 200GB Cool Data SSD Read Speed Tester.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51
③ 써멀쓰로틀링 Test.. 써멀쓰로틀링 확인 안됨!!
- IOMeter, HWiNFO.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52
④ Latency 분석.. 동일 BiCS5 112L 낸드 Exceria Pro 1TB 대비 전혀 다른 특성!!
- IOMeter.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53
⑤ IOMeter & Conclusion. 스펙 대비 다소 아쉬운 낮은 성능의 구현!!
- IOMeter.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55
※ 추가 확인 편
① Cool Data 읽기 성능 유지력(Retention) Test.. 30TB 쓰기 후 훌륭한 성능유지력!!
- 200GB Cool Data Read Test (* Sustained 30TB Write/Erase & File Read Test)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56
② USB3.2 간단 Test.. 진행 예정
* 저의 사용기는 궁금한 순서대로 진행되며, 진행되는데로 목차를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.
PS. Review ≠ 홍보 or 네거티브!!, Review = 검토 & 비평!!, 선택 = 존중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