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(5/3), 솔리다이에서 시너지2.0 툴킷(*NVMe driver 2.2.1017 포함) 출시 발표를 했구요.
솔리다임 P44 Pro 1TB를 통하여 Windows 기본 드라이버 vs 솔리다임 드라이버 버전 Test를 진행해 봤습니다.
ㅁ 해당 솔리다임 NVMe 드라이버 Test의 이유는??
- 먼저, NVMe driver의 설치에 따른 NVMe SSD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기 위함이며,
- 두번째로는 P44 Pro 벤치 Test시 드라이버 버전 선택하기 위함입니다.
※ 솔리다임 시너지2.0 툴킷 출시 및 다운로드 관련 사항은?? 이전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900
ㅁ 진행순서
① 장치관리자 NVMe 드라이버 버전확인
② Windows 기본 드라이버 vs 솔리다임 드라이버 버전 Max 성능 비교
③ Windows 기본 드라이버 vs 솔리다임 드라이버 버전 Mix 성능 비교
● 장치관리자 NVMe 드라이버 버전확인
* 드라이버 설치 후 장치관리자에서 버전 확인은 아래와 같습니다.
ㅁ Windows11 21H2 기본 드라이버
ㅁ 솔리다임 NVMe 1.0.0.1030 버전 & 2.2.0.1017버전
● Windows 기본 드라이버 vs 솔리다임 드라이버 버전 Max 성능 비교
* Windows기본 드라이버 및 솔리다임 이전 1.0.0.1030버전의 결과는 이전 사용기 결과를 그대로 가져왔구요.
- 동일 조건에서 솔리다임 최신 2.2.0.1017버전을 설치 후 Max성능을 확인해 봤습니다.
ㅁ Windows11 21H2 기본 드라이버
ㅁ 이전, 솔리다임 NVMe 1.0.0.1030 버전
▲ (의견) 솔리다임 driver 1.0.0.1035버전 설치 후.. 윈도우 기본드라이버 대비 눈에띄는 성능향상이 관찰됩니다.
ㅁ 최신, 솔리다임 NVMe 2.2.0.1017버전
▲ (의견) 최신 솔리다임 driver 2.2.0.1017버전 설치 후.. 이전 버전대비 다소 낮은 성능이 관찰됩니다.
- 최대 IOPS성능을 의미하는 4k Q32T16 값의 경우 윈도우 기본드라이버 보다도 다소 낮게 나오고 있습니다.
- 물론, 제 시스템의 CPU성능 구현의 한계일 수도 있습니다만... 반복 진행해 봤으나 동일하게 재현 됩니다.
● Windows 기본 드라이버 vs 솔리다임 드라이버 버전 Mix 성능 비교
* 혹시라도, 솔리다임 시너지2.0 툴킷 출시 기사에서 언급한 실제 워크로드상에서의 성능향상을 부분을 감안해서..
- 재현 Test 겸.. CDM Mix 성능 부분을 재차 확인햏 봤습니다.
- Read/Write Mix 성능을 통해서 응용SW 성능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.
* 아래 결과를 보시면.. 최대 성능은 이전 결과와 동등 수준에서 아주 잘 재현이 됩니다.
ㅁ Windows11 21H2 기본 드라이버
ㅁ 이전, 솔리다임 NVMe 1.0.0.1030 버전
▲ (의견) 마찬가지로, 솔리다임 driver 1.0.0.1035버전 설치 후.. 윈도우 기본드라이버 대비 성능향상이 관찰됩니다.
ㅁ 최신, 솔리다임 NVMe 2.2.0.1017버전
▲ (의견) 아쉽게도, 솔리다임 driver 2.2.0.1017버전 설치 후.. 이전 버전 대비 아쉬운 성능입니다.
● (의견) 결론적으로, 저의 P44 Pro 1TB의 경우 이전 1.0.0.1030버전을 적용할 예정입니다.
- 아쉽지만, 솔리다임 NVMe driver 1.0.0.1030버전에서는?? 눈에 띄는 성능 향상이 관찰됩니다만..
최신 솔리다임 NVMe 2.2.0.1017버전에서는?? Widows 기본 드라이버 보다도 다소 낮은 아쉬운 결과가 관찰됩니다.
- 또한, 솔리다임 출시 기사내용상.. 실제 워크로드상에서는 성능 향상이 있다고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만..
디스크 성능 평가적 관점에서는 관찰된 숫자로만 평가하할 수 밖에 없습니다.
- 물론, 저의 Test결과가?? SSD의 랜덤 4k성능이 CPU성능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..
저의 벤치 시스템(*4k Q32T16 : CPU이용율 100%) 의 최대 성능 구현 한계로 Test 오류 가능성도 있을 수 있을 수 있습니다만..
4K Q1T1성능의 구현 및 평가에는 무리가 없음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
- 개인적으로.. 최신 2.2.0.1017버전은 이전 1.0.0.1030 대비 동등 수준의 결과를 기대 했었는데요.
그렇지 못한 결과가 나와서 다소 아쉬운 마음입니다.
★ 그렇더라도, 솔리다임의 실제 워크로드의 성능 향상 및 기술 혁신 노력은 아주 훌륭하다 생각합니다.
- 이후 벤치 Test 및 성능 리뷰를 마친 후 필요성이 있다면~
P44 Pro에 윈도우 설치 및 시너지2.0툴킷 설치 후 드라이버 Test를 간단하게라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* 최근 많이 바빠서~ 멈춰있는 P44 Pro 1TB 벤치 Test 및 리뷰도 천천히 다시 진행해 볼 예정입니다.
가볍게 참고해 보시구요. 좋은 하루 되세요 ^^..
■■ Solidigm P44 Pro 1TB 사용후기 진행 목차 ■■
* 해당 사용기는 티스토리 블러그에서 작성되며, 네이버 블러그 및 SSD사용자모임 카페에 배포됩니다.
0. 도착 및 개봉기 (*SK Hynix P41 클론 제품 임!!)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85
① Max Benchmark편.. Windows NVMe driver vs Solidigm NVMe driver!!
- Spec, CDI, Storage Tool, HD Tune Read/Write, 300GB File Benchmark, CrystalDiskMark, AS SSD, ATTO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87
② 더티테스트.. P41 대비 최대온도 77℃ & SLC버퍼 구간 크기도 동일합니다!!
- Dirty Test(= Full Sustain Write), 200GB Data SSD Read Speed Read Test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88
③ 200GB File Read Test.. 역쉬나 아쉬운 3,900MB/s!!
- 200GB Data : SSD Read Speed Read Test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89
④ Cold Data 읽기속도 유지력 Test 1. Solidigm Drver - 30TB 쓰기 후??... 신기하네요 유지력 훌륭합니다!!
- 200GB Cold Data : SSD Read Speed Read Test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90
⑤ Cold Data 읽기속도유지력 Test 2. Windows Driver - - 30TB 쓰기 후??... 무탈하게 유지력 훌륭합니다!!
- 200GB Cold Data : SSD Read Speed Read Test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91
⑥ 써멀쓰로틀링 Test.. 83℃에서 훌륭하게 동작합니다!!
- IOMeger, 128K Seq Read/Write Test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97
⑦ IOMeter & Conclusion.. 진행예정!!
- 128K Seq Read/Write, 4K Random Read/Write, Response Time, 80%:20% Mix Test
※ 추가 확인 편
① P44 Pro 1TB.. Windows11 22H2 레거시방식 설치 및 부팅하기 (* 바이오스 CSM 활성화하기!!)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892
② 솔리다임 P44 Pro 1TB : 솔리다임 NVMe driver 1.0.0.1030버전 vs 2.2.1017 버전 Test.. 아쉬운 최신 버전!!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901
* 저의 사용기는 궁금한 순서대로 진행되며, 목차는 진행되는데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.
PS. Review ≠ 홍보 or 네거티브!!, Review = 검토 & 비평!!, 선택 = 존중!!
'HW Storys > HDD, SSD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ntel Optane P1600X 118G : 파티션 생성 에러 초기 불량 해결했습니다!! (1) | 2023.06.24 |
---|---|
[의견] Netac NV7000 1TB Review ⓒ 기본방열판 하단 : USB3.1 외장과도 쇼트 위험성이 높아 보입니다!! (5) | 2023.01.18 |
삼성 990Pro Data Sheet.. 성능 스펙 및 Test 시스템 살펴보기!! (2) | 2022.10.14 |
Kioxia SSD Utility : SSD 초기화 하기!! (*Z590에서 UEFI 부팅 및 진행 잘 됨!) (0) | 2022.06.01 |
Kioxia Exceria Pro 1TB 벤치 진행을 위한~ 방열 대책 성공!! (* 연속부하시 최대 50℃ 수준!!) (0) | 2022.05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