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새롭게 벤치마크 기준을 추가해서 Cool Data에 대한 읽기성능 유지력을 확인해 보고 있는데요.
200GB를 다시 채운 후 쿨 Data에 대한 읽기 성능 유지력(=보존력, 리텐션) Test를 진행해 봤습니다 ^^..
ㅁ Data 리텐션(=보존력, 읽기 성능 유지력) Test 의 목적 및 방법론은??
① 해당 Data Retention(=보존력, 읽기 유지력) Test의 목적은??
- 사용자 Data가 SSD에 저장된 후 장기간 보존되고, 장기간 수많은 불특정한 복합 부하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.
보관중인 사용자 Data는 쿨데이타화가 진행되고, 장시간이 지나더라도 정상적으로 읽혀질 수 있어야 합니다.
즉, 장기 사용성에 따른 SSD에 보관중인 쿨 Data의 읽기성능은 어느 정도 하락하는가??를 확인해 보게 됩니다.
- SSD 및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품질이 정상적이 못 할 경우..
30TB 쓰고/지우기 후 보관중인 쿨 Data에 대한 읽기속도가 현격한 수준으로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.
② 해당 리텐션 Test 방법론으로.. 여러방법들을 시도해 봤었는데요.
- 이전에는 자료를 채운 후 고온 가열해 보기도 하고, 수개월간 전원 오프 테스트를 진행해 보기도 했었는데요.
사실상, 일반사용자 입장에서 1회성일뿐, 주기적으로 진행을 할 수 없는 부분이었구요.
- 최근에는 머쨍님의 수명테스트 및 방법론을 벤치마킹하여..
수년이상 장기사용성을 고려하여 자료를 채운후 60TB수준의 쓰기 후 읽기 Test를 진행해 보았었고,
- 최근 SK 하이닉스 P41 1TB Review 부터는?? 아래와 같이 Test 기준 및 방법을 정하고,
약 30TB 쓰고/지우기 후 Data 읽기속도에 대한 Test를 진행해 보고 있습니다.
(* QLC 제품등 쓰기속도가 느릴 경우.. 수일 이상 걸릴 수 도 있습니다 ㅠㅠ)
ㅁ 시스템 개요
- ASUS TUF Gaming Z590 Plus, i5-11600K, RAM 16GB
- File Read Test : Windows11 (*벤치최적화 상태)
* Test File 생성 및 더티테스트5.0.3 진행 : Windows11 (*실사용 상태)
ㅁ Test 진행 순서
① 200GB Test File 생성
② 1차 200GB Read Test 결과 취합
③ 30TB(* 600GB x 50회) 연속쓰기 더티테스트 진행
④ 30TB 쓰고/지우기 후 200GB File Read Test 진행
1. 200GB Test File 생성 및 SLC 캐싱 배제 작업
* 혹시라도, 재현 Test를 해보고 싶으신 분들 또는 회원님들께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해서..
- 해당 보존력 Test 준비단계부터 전체적인 진행 과정을 좀 더 자세하게 올려 봤습니다.
① [Test File 생성] File Generator툴로 200GB (4GB x 50개) Test 파일을 생성합니다.

▲ 위와 같이 설정 후 Create를 클릭하면, 원하는 크기의 Test File이 생성됩니다.
- File Generater툴은 자료실에 올려져 있습니다.
[Download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693
② [SLC캐싱배제] 남은 전체 공간에 대하여 더티테스트 1회를 돌려서 SLC캐싱배제 작업을 진행합니다.
ㅁ 더테스트 설정

▲ 더티테스트 종료 후 더티테스트 램덤 File이 삭제되지 않도록 "종료후 파일 삭제" 옵션을 해제합니다.
ㅁ 더티스테스트 1회를 진행하여.. 남은 공간 전체를 채웁니다.

▲ 더티테스트 종료시간을 체크해 놓은 후, 이후 Read Test 시간과 비교를 통해서 유휴시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.
ㅁ 어느정도 유휴시간 후.. 더티테스트 랜덤 파일을 모두 삭제합니다.

▲ 이정도 까지 진행하면.. 다이나믹 SLC버퍼에 남았는 Test File은 모두 TLC영역으로 강제로 옮겨지게 됩니다.
③ [안정화 확인] CDM을 돌려서 SSD의 성능 회복 및 안정화여부를 확인합니다.

▲ 정상범위!! 준비가 끝났습니다.
2. 1차 200GB Read Test 결과 취합.. 5,743MB/s
* 약 1시간 정도 충분한 유휴시간 후 Read Test를 진행합니다.
- 이전 4편. 최종 의견에서 성능 회복이 다소 느리고, 벤치편차가 다소 클수 있음을 이미 언급했습니다.
- 늦은 밤.. 수차례 전원 온오프 및 전원 인간상태에서 1시간 정도면 충분하다는 생각인데.. 과연~ 어떨런지는??...
ㅁ 먼저, HD Tune 읽기를 진행해 봤습니다.

▲ Test File이 저장된 영역의 속도가 낮게 나오는데요. Data HD Tune과 맞지 않는 부분입니다.
- 해당 HD Tune툴을 사용하지 못하는게 아쉬울 뿐.. 아래 Read Test결과가 정상이라서 상관없습니다.
ㅁ 200GB Read Test 1차 결과 취합 결과.. 5,743MB/s

▲ (의견) 이전 3편. 200GB File Read 결과 대비 벤치오차 범위 수준으로 정상범위 입니다.
- 단지, 3회 진행 후 1회차 버리고, 2, 3회차는 동일 수준으로 올라와서 해당 값을 기준으로 비교 예정입니다.
3. 30TB 더티테스트 진행.. 약 6.5Hr 소요
* 장기간 사용성을 고려하여.. 더티테스트 5.0.3 버전을 활용해서...
- 약 30TB(* 600GB x 50회) 연속 쓰고/지우기 더티테스트 진행를 진행합니다.
ㅁ 더티테스트 전.. CDI 쓰기량을 확인해 놓습니다... 36,259GB

ㅁ 더티테스트5.0.3 버전 실행 및 30TB 쓰기/지우기 설정

▲ 설정사항을 보면..
① 채우기 설정탭 - 드라이브 지정
② 남은공간 731GB 중.. 남길공간 131GB 지정하여.. 약 600GB 쓰기 설정
③ 반복진행 50회 설정
④ 결과 호환성탭 - 속도기록 단위 1%, 윈도 캐시 효과 적용 체크 해제
⑤ 채우고 지우기를 클릭한 후.. 로그값 저장위치를 지정해 주면.. 시작됩니다!!
ㅁ 1회차 600GB 쓰기 진행 중 스샷입니다.

ㅁ 600GB x 50회 쓰기/지우기 종료!!

▲ [파일첨부] 첨부된 로그값을 보시면.. 30TB 쓰고/지우기 시간은 약 6.5시간 정도 소요된 듯 합니다.
- 1회차 시작시간 6.01. 02:13 시작되어, 마지막회차가 6.01, 08:35분에 시작된게 확인됩니다.
- 각 회차별 600GB 쓰기 시간은 약 7~8분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.
ㅁ 30TB 더티테스트 종료 후 CDI 쓰기량을 확인합니다. +30,022GB 증가!!

▲ 30TB 쓰고/지우기 후.. 호스트 쓰기량이 정상적으로 잘 누적된게 확인됩니다.
- 이번 벤치 Test 진행관련.. 총 읽기/쓰기량이 94TB, 74TB 수준 됩니다 ㅠㅠ
------ 아침에 외출 후... PC켜놓은 상태에서 약 8시간 정도 충분한 유휴시간이 부여되었습니다. ------
4. 30TB 쓰기 후 : 200GB File Read Test.. 3,432MB/s
* 약 8시간 이상 충분히 유휴시간이 있었기 때문에.. 바로 File Read Test를 진행합니다.
- 또한, 특기사항으로 벤치편차 부분에 대한 사례로, 연속 Read Test 결과 5회치를 모두 올립니다.
ㅁ [안정화 확인] CDM을 돌려서 SSD의 성능 회복 및 안정화여부를 확인합니다.

ㅁ 굳이 안해도 됩니다만, 그래도 HD Tune 읽기 Test를 진행해 봤습니다.

▲ 30TB 쓰기전 결과와 대동소이합니다만,,, 초반부 Test File 영역의 그래프 파형이 좀 더 안정적입니다.
- 8시간 정도 충분히 유휴시간이 한 몫 한것으로 추정됩니다.
ㅁ 1회차 200GB Read Test 결과.. 5,667MB/s

▲ 최초 1회차 결과 결과치는 다소 낮을 수 있습니다. 버릴지 여부는?? 이후 결과치들을 보고 판단하면 됩니다.
ㅁ 2회차 200GB Read Test 결과.. 6,040MB/s Wow!!

ㅁ 3회차 200GB Read Test 결과.. 5,844MB/s

ㅁ 4회차 200GB Read Test 결과.. 5,845MB/s

ㅁ 5회차 200GB Read Test 결과.. 5,845MB/s

● (중간의견) 문제발생!! 30TB 쓰기전 읽기 속도보다, 30TB 쓰기 후 읽기속도가 더 좋음!!
- 제가 4편. 결론부에 언급했었던 2가지 사항으로..
① 현격한 벤치 편차 부분과 ② 충분한 유휴시간 후 안정된 최대 성능을 확인 된다라고 언급했던 부분입니다.
- 즉, 30TB 쓰기전 200GB Read 속도의 경우?? 충분 높은 수준의 정상 범위의 값입니다만...
비교 Test 관점에서는 충분히 안정화된 최대 성능이 아니라고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.
- 그러면, 30TB 쓰기 후 결과치는 안정화 된 값일까??
30TB 쓰기초반부 HD Tune Graph 파형이 좀 더 안정적임이 관찰되는데요.
해당 그래프를 보고 좀 더 안정화된 값으로 추정해 보고 싶습니다.
(* 안정화된 값이 아니어도 어쩔 수 없습니다. 관찰된 데로 생각하고, 판단을 하면 그 뿐입니다.)
5. 30TB 쓰기 전/후 결과 비교 Graph
* 그럼, 비교 평가를 위한 결과값을 어떻게 반영할까?
① 30TB 쓰기 전 기준값은?? 해당 30TB 쓰기전 결과치 5,743MB/s는 버리구요.
- 3편. 200GB Read Window11 결과치 5,819MB/s를 반영했구요.
② 30TB 쓰기 후 결과치는?? 해당 4, 5회차 5,845MB/s를 그대로 반영해 봤습니다.

▲ 해당 Test의 목적은 장기사용성에 따른 어느정도 하락하는가??에 대한 확인이 목적이기 때문에..
- 확인 및 평가적 관점에서는 크게 지장은 없을 듯 싶습니다.
- 결과적으로.. 30TB 쓰기 후에도 경쟁사 PCIe4.0 SSD 대비 눈에 띄게 높은 수준입니다.
● (의견) 30TB 쓰고/지우기 후 읽기성능의 유지력은 거의 변화가 없어 보이며, 아주 훌륭합니다!!
- 혹시라도, 용량변화에 따른 벤치편차로 인해서 변화가 있더라도.. 미미한 수준일 것으로 추정해 봅니다.
- 30TB 쓰기 후 File Read 결과치가 이전 3편. 200GB Read 결과치보다 약간 높습니다만,,
벤치오차 수준으로 벤치편차 또한 제품의 특성임에 따라서 재 Test 또는 업데이트 반영하지 않습니다.
※ [Test 팁] 낸드영역에서의 읽기 Test 진행시.. 안정된 결과값을 얻기 위해서는??
- Test 조건상 용량변동이 클 경우?? 수 수간 이상 충분한 유휴시간이 필요합니다.
- 물론, 실사용시에는 벤치 오차 범위 수준이고, 충분히 높은 성능이라서 상관없는 사항입니다.
* 판단 및 선택은 각자의 몫!! 관찰데로만 올릴뿐입니다.
가볍게 참고해 보시구요. 그럼, 좋은 하루 보내세요 ^^..
■■ Kioxia Exceria Pro 1TB 사용후기 진행 목차 ■■
* 해당 사용기는 티스토리 블러그에서 작성되며, 네이버 블러그 및 SSD사용자모임 등 커뮤니티에 배포됩니다.
① Unboxing & Max Benchmark.. 무난하게 최대 IOPS 스펙 성능 구현!!
- Spec & Price, Unboxing, CDI, Easy Kit, HD Tune Read/Write, 300GB File Benchmark, CrystalDiskMark, AS SSD, ATTO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40
② 써멀쓰로틀링 Test.. 쓰로틀링 조건 70℃, 읽기 3.8GB/s, 쓰기 2.7GB!!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41
③ 더티테스트 & 200GB File Read Test.. 대용량 File Read 최상위에 위치 함!!
- Dirty Test(= Full Sustained Write & SLC buffer Aanalysys), 200GB Cool Data SSD Read Speed Read Test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42
④ IOMeter & Conclusion.. 스펙 대비 무난한 최대 성능의 구현!!
- 128K Seq Read/Write, 4K Random Read/Write, Response Time, 80%:20% Mix Test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53
※ 추가 확인 편
① Kioxia Exceria Pro 1TB 벤치 진행을 위한~ 방열 대책 성공!! (* 연속부하시 최대 50℃ 수준!!)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46
② Kioxia SSD Utilty : SSD 초기화 하기!! (*Z590에서 UEFI부팅 및 진행 잘됨!)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52
③ Cool Data 읽기 성능 유지력(Retention) Test.. 30TB 쓰기 후 거의 변화가 없음, Good!!
- 200GB Cool Data : 30TB Write & File Read Test,
[Link] https://realitreviews.tistory.com/755
* 실사용 중 추가적으로 확인되는 사항이 있으면.. 추가 확인편에 업데이트해 놓도록 하겠습니다.
PS. Review ≠ 홍보 or 네거티브!!, Review = 검토 & 비평!!, 선택 = 존중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