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SW Storys/VHD, VM 이야기

VHD처음도전기 : 외장SSD에 VHD방식 윈10설치하기 ⑦ UEFI방식으로 설치하기

728x90
반응형

[2015.09.22~  by Mr.Madam]

 

 

 

 

이전게시글(①~⑥)까지는 WinPE부팅을 통해~ 외장SSD MBR(BIOS)방식으로 진행해 봤습니다.

이번에는 GPT형식의 .vhd 파일을 생성하고 UEFI방식으로 윈10설치하기를 진행해 보았습니다^^.

 

 

 

※ 진행상 특기사항!!

   - 이전 게시글에서는 WinNtSetup툴로 .vhd파일을 생성하였으나.

   - 이번에는 diskpart 명령으로 .vhd파일을 생성해 봤습니다.

 

 

 

 

[시스템개요 및 준비물]

 

* 기가-B85M-D3H, i5-4670, Ram 20G, UEFI지원

* SSD : 샌디스크 SSD PLUS 120G

* USB3.0 외장기기 : 강원전자 USB3.0 INEO 커넥터(UASP기능 지원)

  

 ★ 필수조건 : UEFI방식 윈도우 설치시~ 필!! 바이오스에서 UEFI모드를 지원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[진 행 절 차]

ⓛ  외장SSD를 GPT방식으로 디스크형식 변경, efi 및 Primary 파티션 만들기.

② diskpart명령으로 GPT방식 VHD파일생성하기 및 탑제하기

③ WinNtSetup툴로 생성된 VHD파일에 OS설치하기.

④ 재부팅하기

⑤ .vhd파일 보관하기

 

 

 

 

1. 외장SSD~ GPT변환 및 EFI 파티션만들기

~> 외장 SSD Plus120(G:)드라이브로 연결되어 있습니다.



~> DiskPart 명령으로 외장SSD를 초기화시키고, GPT형으로 변환  efi파티션을 생성한 후 부팅가능 디스크로 만들어 줍니다.

[diskpart 명령설명]

* 관리자권한으로 CDM창실행 ~> diskpart 명령실행 ~> 외장SSD 디스크 확인(3) ~> 디스크3 선택 ~> 디스크 초기화

  ~> GPT형식으로 디스크 변환 ~> 100MB efi파티션생성 ~> fat32방식으로 포멧 ~> 나머지 공간 Primary파티션으로 생성

 ~> ntfs방식으로 빠른포멧 ~> 문자열할당 ~> 종료 


 

~> 외장SSD를 diskpart 명령 후 디스크관리자에서 확인해 보았습니다^^.

    ass명령으로 Plus(G:)드라이브로 문자열이 지정되어 있습니다.


이제... UEFI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한~ GPT형식으로 변환된 외장 SSD가 준비 되었습니다^^.




 


2. GPT형식 VHD파일 생성하기

 

~> G:드라이브에.. 50GB(50GB*1024MB)~ GPT 형식 동적확장 win10.vhd파일 생성합니다.

~> diskpart명령으로 외장SSD Plus120(G:)드라이브에 106,748KB크기의 동적확장 50GB win10.vhd파일이 생성되어있고,

    win10.vhd 파일이... 로컬디스크(H:)로 잡혀있습니다^^.

 

 

[diskpart 명령 설명]

* CMD창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~> diskpart명령실행 ~> win10.vhd파일 생성 ~> GPT파일형식으로 변환

  ~> Primay파티션 생성 ~> ntfs방식으로 빠른포멧 ~> h:드라이브로 문자열 할당 ~> 종료





※ 참고!! (내용 추가 사항)

   diskpart 명령중에서... 부팅디스크(SSD)가 GPT형식으로 되어있으면~...

   구지~~ vhd파일은?? gpt로 변환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^^.

   (* 즉, con gpt 명령은 제외!!해도 됩니다.)

 

 

 


3. WinNtSetup툴로 Win10설치하기

~> WinNtSetup툴 64비트버전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합니다.

    (*WinNtSetup툴을 실행하면~ efi파티션이 자동으로 Z:드라이브 탑제됩니다)

 

~> ① 부트드라이브를 efi파티션(Z:)으로 지정해 줍니다. 그러면.. 화살표 체크박스 3개가 모두 녹색인지 확인합니다.

    ② 미리준비된 윈도우10 install.win파일을 선택해 줍니다. (관련게시글 ①참조)

    ③ win10.vhd가 마운트된 로컬디스크(H:)를 지정해 줍니다.

    ④ 설치를 클릭합니다.



~> 부트코드옵션에서 "부트코드 업데이트 안함"을 선택한 후 "확인"을 클릭합니다.



~> 윈10 install.wim파일 설치 진행 중 화면입니다.



~> 완료되었습니다^^.





4. 재부팅

 

~> 부팅시 F12키(해당보드에 한함.) 연타하면~ 아래 화살표 처럼.... 외장SSD가 UEFI:가 붙는 부팅device가 하나더 나타납니다.

    당연히, "UEFI: SanDisk~"  부팅을 진행합니다.



~> 장치인식 및 설정 중 화면입니다.



~> 개인설정 화면입니다^^.



~> 부팅성공^^..






4. 만들어진 VHD파일 보관하기

~> VHD설치과정 중 만들어진 .VHD파일 별도로 저장해 놓으면 아주 편리합니다^^.

 

 ①  win10_efi부팅전.vhd

     * 해당 .vhd파일은 3항. WinNtSetup툴로 윈10설치를 마친 후 재부팅전에 미래 백업해서 별도로 저장해 놓았습니다.

       장치 및 개인설정이 되지 않았으므로.. 

       이전게시글 (⑤마이그레이션) 처럼~ UEFI방식의 다른컴에 복사 후 efi파티션에 BCD등록만 해주면~..

       장치인식 및 개인설정 단계부터 진행합니다.

 ② win10_efi부팅후.vhd

     * 해당 .파일은 4항. 재부팅 후 장치인식 및 개인설정 완료 후에 별도로 저장해 놓았습니다.

       같은 컴에서... 이전게시글 (⑤마이그레이션) 처럼~ 다른 디스크등에.. 해당 파일을 복사 후 efi파티션에 BCD등록만 해주면..

       장치인식 및 개인설정 과정없이 즉시 부팅이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이상으로 USB3.0 외장 SSD에 VHD방식~ UEFI방식으로 윈10을 설치해 보았습니다^^.

 

 

 

~~~~~~~

 에러노트

~~~~~~~

현재, OS상태에서~ WinNtSetup 실행오류발생!!

램디스크가 Z:드라이브로 잡혀있는데... 램디스크 드라이브를 변경(X:)해 주고 해결함.

즉, WinNtSetup툴이 실행되면서~ efi파티션을 자동으로 Z:드라이브로 잡는데..

램디스크(Z:)와 충돌이 발생한 듯 싶다.

 

 

 

 

■■ VHD 처음도전기 - 진행 목차 ■■ 

0. WinPE 만들기
  [Link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49
1. WinNtSetup툴로 - 외장SSD에 윈10설치하기 ① 직접설치방식
  [Link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0
2. WinNtSetup툴로 - 외장SSD에 윈10설치하기 ② VHD 설치방식
  [Link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1
3. 외장SSD에 VHD방식 윈10설치하기 ③ 자식 vhd 만들기 및 멀티부팅하기
  [Link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2
4. 외장SSD에 VHD방식 윈10설치하기 ④ Bootice툴로 자식 vhd 추가 및 멀티부팅순서 바꿔주기
  [Link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3
5. 외장SSD에 VHD방식 윈10설치하기 ⑤ 다른 디스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??
  [Link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4
6. 외장SSD에 VHD방식 윈10설치하기 ⑥ VHD 디스크 크기 늘리기
  [Link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5
7. 외장SSD에 VHD방식 윈10설치하기 ⑦ UEFI방식으로 설치하기
  [Link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6
8. VHD응용 ⑧ 기존 윈8.1 시스템 이미지 백업 및 VHD로 부팅하기
   [8.1 시스템이미지백업하기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7
   [8.2 시스템이미지백업.vhdx 파일로 부팅하기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8
   [8.3 vhdx 동적확장 최대용량 축소하기] realitreviews.tistory.com/159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