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과거 게시글 이전해 놓습니다 *
The SSD Review.com에..."SSD 최적화 가이드 2018"이 올라와서 스크랩해 놓습니다 ^^..
ㅁ (주의!!) 해당 최적화 가이드는??
- SSD 리뷰어를 위한 것이며, 일반사용자환경에서 과도한 최적화는?? 오히려~ 독!!이 될 수 있습니다.
- 즉, 해당 최적화의 목적이.. 리뷰를 위한!! 디스크 Max성능의 확인이기 때문에..
벤치진행시~ 용량 변동 및 벤치 편차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최소화시키게 됩니다.
ㅁ 이전에도.. The SSD Review.com.. "SSD 최적화 가이드2013" 을 올린적이 있는데요.
- 거의 비슷한 내용이라서.. 좀 더 자세하게 요약해 놓은 부분이 있으니 추가 참고해 보세요.
- SSD 리뷰 등.. 벤치 놀이를 즐기시는 분들은 좋은 참고가 되실 듯 합니다 ^^..
[최적화 가이드 2013 참조] realitreviews.tistory.com/410
ㅁ 내용 중.. 참고할만한 몇몇 중요 벤치값만 한번 발췌해 봤습니다 ^^..
[이미지 및 원문출처] http://www.thessdreview.com/ssd-guides/optimization-guides/the-ssd-reviewers-guide-to-ssd-optimization-2018/9/
Z370 vs X299
▲ SSD 벤치성능 측면에서는 Z370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.
- 간혹, 하이엔드컴에서.. 간혹 벤치값이 살짝 낮은 경우를 보는데요.. 이런 이유인가 봅니다.
- 여튼.. 종합적인 멀티 작업성 및 편의성 측면에서는 당연히 X299가 낫겠지만요.
Intel Sata 포트 vs 확장 Sata 포트
▲ 이부분은 다들 아시는 부분이라서.. 패쓰!!
최적화 vs No최적화
▲ 위 스샷 보시면..
- (좌)측은?? NVMe등 최신 드라이버설치 및 각종 최적화를 모두 진행한 부분이고,
- (우)측은?? 최신드라이버 미적용 등.. 전혀 최적화 하지 않는 상태인듯 싶어서.. 벤치값이 영~ 별로입니다만....
일반사용자 환경에서는 이정도 나와도 정상범위임을 감안해서 보시면.. 좋을 듯 합니다.
마이그레이션 전후 비교
▲ 최적화를 모두 진행 후.. 마이그레이션을 후 OS부팅한 상황으로 보이는데요.
- 마이그레이션을 하게 되면... 벤치상 어느정도 손해는 감수 해야 하고..
- 잘 못되었을경우... 원문상 바로 아래.. "블스" 이미지가 무섭네요 ㄷㄷㄷㄷ
윈도우10 기본 NVMe Driver Vs 삼성 NVMe Driver
▲ 별반 차이 없어 보입니다... 굿!!
- 일반사용자 분들은.. 윈도우 10 기본드라이버로도 훌륭해 보입니다. (* Win7, 8.1에서는 필!! 설치를..)
- SSD 리뷰하시는 분들은?? 엑세스타임 및 4k 성능 측면에서.. 제조사 NVMe 드라이버를 설치 검토를...
~~ 내용이 무지 많은데요..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전문 한번 참고해 보세요 ^^.. ~~
● 일반사용자영역에서.. SSD 최적화에 대한 의견..
- 개인 취향에 따라서.. 몇몇 가지 활용하면 좋아 보이구요.
★ 주의!! 과도한 최적화는?? 실사용시..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!!
- 윈7, 윈8.1에서는?? AHCI드라이버 정도.. 보드 칩셋에 맞게.. 최신으로 설치해 주시면 좋은 듯 합니다.
- Win10에서는?? 각종 드라이버만 최신으로 자동 업데이트 해줘도.. 그닥 손댈게 없는 듯 합니다.
만약, 손댄다면.. 제어판 - 전원옵션 -고성능 모드 설정 정도!! ^^..
※ 저의 SSD 최적화의 경우는?? 아래 링크를 보시면.. 최소한의 최적화만 진행중에 있습니다.
[참조 - 최적화가이드 2020] realitreviews.tistory.com/415
★주의!! 위.. The SSD Review.com의 최적화 가이드는??
OS영향의 최소화 및 벤치편차 최소화, 최대 성능을 얻기 위한.. 리뷰 Test용 최적화이니.. 참고로만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.
과도한 최적화는 실사용시~ 원인 모를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, 독이 될 수 있습니다.
가볍게~ 한번 참고해 보시구요.. 그럼, 즐거운 하루 되세요 ^^..
'Madam's Reviews > SSD Bechmark Gui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31 500GB.. IOMeter 8GB vs 80% Span, Seq 128k vs 1MB 비교 Test!! (*Benchmark 기준 변경 검토 중) (0) | 2021.02.08 |
---|---|
[삼성] 삼성 SSD Test 시스템 및 벤치마크툴 살펴보기 (* 970EVO Plus, 980Pro, 870EVO) (2) | 2021.02.07 |
[AnandTech] 열공!! 아난텍 PCIe4.0 NVMe Test 기준 살펴보기 (0) | 2021.02.05 |
Madam's SSD 벤치마크 최적화 가이드 2020 (* Window10 20H2 기준) (0) | 2020.11.30 |
리뷰어를 위한 SSD 최적화 가이드 2013!! by The SSD Review.com (0) | 2020.11.30 |